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Tags
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1993년 2월 11일 목요일

Javascript - 배열 본문

Javascript

Javascript - 배열

혜on2 2022. 6. 7. 21:49

 

배열은 하나의 변수 안에 여러개의 데이터를 담는 것을 말한다.

각 데이터들을 원소(element) 라고 한다.

 

여러가지 값을 넣는 방법은 2가지 방법이 있다.

 

1. 첫번째 방법

let array = [1,2,3];
console.log(array[0]);
 
ㄴ array 라는 변수의 값들 중에 0번째 데이터를 출력하라는 코드인데, 코딩에서는 0부터 숫자가 시작되므로 0번째 데이터인 1이 출력됨
 
let array2 = ['one', 2 , 'three', 4];
console.log(array2[2]);

ㄴ 문자열과 숫자가 섞여 있어도 추출은 가능하므로 2번째 데이터인 three가 출력됨
 
let array3 = [];
array3[0] = 1;
array3[1] = 2;
console.log(array3);
 
ㄴ변수의 데이터 값을 비워 놓고 후에 추가 시켜도 출력 가능! 결과 값으로 [1, 2]가 출력됨
 
 
2. 두번째 방법 (객체를 생성하는 방법, 위에 첫번째 방법에서의 대괄호와 중괄호 차이 확인하기!)
 
let array4 = new Array(10, 20,30);
 
ㄴ이런 식으로 객체를 생성해서 선언하는 방법도 있음! 대신 중괄호로!
 
 
* 배열 내장함수! ( 함수를 사용할 땐 뒤에 . 사용함)
 
 - push ( 데이터 마지막에 값을 추가하고 싶을 때 사용)
 
ex) 
array4.push(40);
console.log(array4);
 
> 10, 20 , 30, 40
 
연습문제) array5를 객체생성으로 만들고 100, 200, 300을 넣어 array5를 출력해보고 마지막에 1000을 추가하고 다시 출력하시오.
 
let array5 = new Array (100, 200, 300);
console.log(array5); 
 
array5.push(1000);
console.log(array5);
 
 
 - pop (마지막 배열 삭제)
 
array4.pop();
console.log(array4);

> 10, 20, 30

* pop은 삭제하는 마지막요소를 반환한다 
( 쉽게 설명하면, 너 마지막 숫자 버릴꺼야? 응, 그럼 내가 가지고 있을게~ 이런식으로)

let popped = array4.pop(); 
console.log(popped);

> 40

 

 - shift (맨 앞 배열 삭제)
array4.shifr();
console.log(array4);

> 20, 30 

* 동일하게 이것도 반환 값이 있음

let popped2 = array4.shift();
console.log(popped2);

> 10

 
 

 - reverse(역순정렬) / 반대는 sort (정렬)

array5.reverse();
console.log(array5);

>1000, 300, 200, 100

위 내용을 줄여서 쓰면
console.long(array5.reverse());


 


✔️출처: hannah 선생님 수업, 생활코딩 
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avascript - 조건문  (0) 2022.05.31
Javascript - 연산자  (0) 2022.05.29
Javascript - 변수  (0) 2022.05.28
Javascript 기초  (0) 2022.05.24